Management

글로벌 시장공략을 위한 작품성과 시장성을 갖춘 영상 콘텐츠 제작사업

[라이징★] 알고 보면 상남자, 배우 김시후의 매력

돌아가기

 

배우 김시후(25)에게는 데뷔 때부터 늘 따라붙는 수식어들이 있다. 미소년, 꽃미남 등 주로 반듯하고 우월한 외모에서 나오는 표현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김시후는 상남자 라는 게 영화계 관계자들의 중론이다.

 

남자들끼리 뭉쳐 다니길 좋아하고, 사랑보다 우정을 중시하는 의리파 이기도 하다. 본인도 “학창시절 때부터 남자들의 의리를 중시하는 분위기가 몸에 배 있는 것 같다”고 고개를 끄덕인다.

 

김시후는 올해 데뷔 10년차로 경력으로만 따지면 중견 이나 다름없다. 2003년 중학생 시절 KBS 청소년 드라마 <반올림>에 출연하며 연기에 첫 발을 내디뎠다. 귀엽고 잘 생긴 외모로 주목 받으며 다양한 작품에서 필모그래피를 쌓아왔다. 그렇지만 이제 만 25세. 해온 것보다 앞으로 해야 할 역할?작품들이 훨씬 더 많다.

 

30~40대 남자배우들의 활약이 두드러진 요즘 영화계에서 유아인, 이종석 등과 함께 20대 남자배우로서 할 일이 더 많아질 것으로 보인다. 인터뷰에서 그는 “진심을 담는 배우가 되겠다”며 당찬 각오를 밝혔다.

 

# 영화 <소녀> 통해 얻은 것과 잃은 것

박찬욱 감독의 영화 <친절한 금자씨>(2005)에서 순수한 빵집 총각, <써니> (감독 강형철?2011)에서 잘생긴 대학생 오빠, 그리고 ‘마이 웨이’(감독 강제규?2011)에서의 츠카모토, 그리고 드라마 ‘사랑비’(2012)에서의 훈남 선호 역할까지. 그가 그동안 연기했던 캐릭터를 몇 가지 특징으로 요약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마치 하얀색 도화지 같아서 어떤 색깔을 입히느냐에 따라 캐릭터가 달라지는 게  배우 김시후만의 매력이기도 하다.

 

지난 11월 개봉한 영화 <소녀>(감독 최진성)에서는 교복을 입었을 땐 영락없는 미소년이지만 한 순간 살인충동을 느끼는 이중적인 캐릭터 윤수 로 분해 배우로서 또 다른 가능성을 보여줬다.

 

“이중적이거나 반전 캐릭터에 관심이 많았다기보다는 시나리오 전체 내용이 매력적이었던 것 같아요. 미스터리한 느낌과 풋풋한 10대 소년소녀의 로맨스가 적절하게 잘 어우러졌죠. 순수함과 잔인함, 판타지와 현실 양극단을 오가는 묘한 쾌감 같은 게 느껴졌어요. 감정 변화를 연기로 표현하는 것이 쉽지는 않았지만, 꼭 한 번 도전해보고 싶었어요.”

하지만 이런 변신 때문에 잃어야 하는 것들 에 대한 두려움은 없었던 걸까. 김시후는 연기자로서 기본자세에 충실하고 싶다고 거듭 강조했다.

 

“배우로서 연기를 한다는 것은 가장 행복한 일이라고 생각해요. 작품 속에서 이미지 변신을 한다거나, 혹여나 망가지는 일이 있다고 해도 망설이거나 주저할 생각은 없어요. 촬영하는 동안 행복한 날들을 보냈고, 이번 영화로 인해 작품의 깊이에 있어 한발 더 나아갈 수 있었다고 생각해요. 제겐 무척 고마운 작품이죠.”